KTX 강릉선 탈선 사고는 열차 궤도를 좌우로 바꿔주는 선로전환기의 케이블이 잘못 꽂혀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는데요. <br /> <br />철도 개통 전에는 이런 부분들을 종합적으로 검사하고 확인하는 '연동검사'를 반드시 실시해야 하는데, 아예 엉터리로 진행됐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김현우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YTN이 단독 입수한 한국철도시설공단과 한국철도공사, 코레일이 맺은 협정서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05년 철도청에서 분리하면서 시공은 철도시설공단이, 유지보수는 코레일이 맡게 되면서 각자의 역할을 구분했습니다. <br /> <br />협정서에는 열차 개통 전 시설을 최종 점검하는 '연동검사'를 하도록 규정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관계자들이 입회하고. 신호설비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해야 한다고 명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YTN이 연동검사 자료를 확인한 결과, 열차 운행의 주체인 철도공사, 즉 코레일의 서명이 없습니다. <br /> <br />시행 기관과 민간 감리회사만 검사에 참여했고, 결과는 '이상 없음'으로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철도 시설의 이상 유무를 종합적으로 확인하는 절차가 엉터리로 진행된 겁니다. <br /> <br />철도시설공단이 아예 입회 기관인 코레일을 부르지도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[KTX 강릉선 현장 관계자(음성변조) : 첫 번째 한쪽 선으로 (연동검사) 할 때는 저희가 입회를 했고요. 두 번째 할 때는 입회가 안 됐습니다. (그때도 안 불러서 그런 건가요?) 안 불러서 그렇습니다.] <br /> <br />코레일을 부르지 않은 이유에 대해 철도시설공단은 사고조사위원회가 조사 중인 사안이라 답변이 어렵다고만 전해왔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강릉선 KTX 열차 사고의 원인은 선로전환기의 케이블이 반대로 꽂혀 있었기 때문으로 파악된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공식 운행 전 검사 과정의 문제가 드러나면서 설계와 시공, 운행 등 전체 과정에 대한 전방위 조사가 불가피하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강릉선 KTX 열차는 철도 시설을 최종 확인하는 관련 절차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은 채 1년을 달렸습니다. <br /> <br />사고조사위원회의 철저한 조사와 결과에 따른 관계자 징계가 필요한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현우[hmwy12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1221051520622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